본문 바로가기

일/사출금형 설계-불량

플래시(Flash, Burr)

 

개요

 

플래시란 금형의 파팅면이나 슬라이드의 압절면, 코어의 틈, 돌출핀 등에 수지가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보통의

성형품 보다 면적이 넓어지거나 중량이 늘어나는 것을 말한다

 

원인

 

형체력 부족 성형품의 투영면적에 비해서 형체력이 작으면 사출압력에 의해 금형이 열려 진다.

 

금형 접합면 및 압절면이 좋지 않을 경우 코어나 입자의 밑면 등의 수압면의 정밀도가 나쁘고 또 형합이 약하기 때문에 사출압력으로 면이 뭉개져 가라앉아 틈이 생기고 플래시 발생을 촉진시킨다.

 

금형의 변형 금형 재질의 강도가 부족하면 금형이 수지의 사출압에 의해 휘고, 제품이 두꺼워지거나, 압절면을 따라 플래시가 발생한다.

 

수지의 점도가 낮은 경우 수지 유동성이 좋고 압력의 저하도 적기 때문에 극히 작은 틈사이에도 수지가 흘러 들어가 발생된다.

 

성형기의 보수 관리가 나쁠 경우 토글식 형체기구를 가진 성형기의 경우 금형의 평행도 불량이나 형체 장치의 조정 불량 때문에 형체력에 좌우, 상하의 불균형이 생겨 플래시 발생을 촉진시킨다.

 

사출압력이 너무 강할 경우 게이트에서 먼 부분은 이미 고화가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하게 사출압을 높이고 사출시간을 길게 했을 경우 수지가 더 이상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가장 압력이 높아지는 게이트부나 런너부분에 플래시가 발생한다.

 

기타 게이트 수가 적거나 런너 및 게이트가 과소할 경우 또 제품 살두께가 얇을 경우, 수지의 유동저항이 크기 때문에 무리하게 충전시키면 수지온도, 금형온도 및 사출압이 높게 되기 때문에 게이트 부근 및 런너부근에 플새시가 발생한다.

 

대책

 

형체력 부족의 경우 유동성이 양호한 수지로 교체해서 금형내의 유동저항을 최소화 한다. 이것은 사출압을 낮게해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형체압력에서도 성형이 가능하다.

 

금형접합면 및 압절면의 불균형에 의한 경우 코어·입자나 측면의 분할부에도 투영면적당 사출압이 가해지므로 pin 형합을 강하게 하거나 슬라이드 코어는 압절면을 다른 부분보다도 형체력이 크게 걸리도록 한다. 또한 코어·입자의 정밀도는 사용하는 금형의 정밀도와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금형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변형 부위 지지대 보강, 금형 재질의 강도 확인

 

수지의 점도가 낮은 경우 수지온도를 내리고 사출압력을 낮게 해서 사출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이 좋다. 금형온도를 낮게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성형기의 보수관리가 나쁠 경우 4개의 타이바의 신장을 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기타 게이트 수가 적거나 런너 및 게이트가 과소한 경우 또 제품 살두께가 얇은 경우 게이트 수를 늘이거나 스프루·런너·게이트를 두껍게 해서 금형내에서의 유동저항을 낮추고, 얇은 부분 에는 부분적으로 살두께를 늘려 흐르기 쉽게 한다.

 

 

' > 사출금형 설계-불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성형(Short shot)  (0) 2015.01.09
편육(Deflection)  (0) 2015.01.08